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222

2_엉덩이운동법_엉덩이근력강화운동_둔근운동_햄스트링운동 근력강화운동을 위한 가이드 입니다.1.근육의 위치를 확인합니다.2.근육의 움직임을 이해합니다. 3.밴드운동방법을 배워봅니다. -둔근은 엉덩이 근육입니다.햄스트링은 허벅지 뒷면 근육입니다.둔근은 햄스트링과 합이 잘 맞아야 하는 근육입니다.-둔근부터 그림으로 살펴보겠습니다. -소둔근기시: 장골후부-중둔선과 하둔선 사이정지: 대퇴골의 대전자 전면작용: 고관절의 외전과 내회전신경지배: 상둔신경(L4.5_S1)-중둔근기시: 장골능, 장골능의 상둔선, 중둔선의 사이정지: 대퇴골의 대전자작용: 고관절의 외전 굽힘과 내회전(전방섬유)고관절 폄과 외회전(후방섬유) 골반안정화와 보행시 골반처짐 방지신경지배: 상둔신경(L4.5_S1)-대둔근기시: 천골후면, 장골, 장골 상둔선정지: 대퇴골의 둔근조면, 장경인대(경골 외측과에.. 2019. 8. 10.
1_허리근육운동법_허리근력강화운동_장요근운동_요방형근운동_코어운동 근력강화운동을 위한 가이드 입니다. 1.근육의 위치를 확인합니다. 2.근육의 움직임을 이해합니다. 3.밴드운동방법을 배워봅니다. 근육은 이미지를 통해 근육위치를 확인하기고, 움직임과 밴드운동방법은 새창열기 링크를 걸어두었으므로 편리하게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. -장요근은 허리뼈와 골반을 연결하는 근육입니다. 요방형근은 12째 갈비뼈와 허이 골반을 연결하는 근육입니다. 장요근과 요방형근은 허리를 지탱하는 심부 근육으로 둘의 조화가 중요합니다. -장요근부터 그림으로 보겠습니다. -장요근 기시: 대요근-요추 장골근-장골내면 정지: 대퇴골의 소전자 작용: 고관절의 굴곡, 외전, 외회전 신경지배: 장골근- 대퇴신경(L2.3.4) 대요근- 제2,3요수신경(L2.3) 보시는 것과 같이 허리뼈에서 골반을 거쳐 허벅지 뼈.. 2019. 8. 10.
1_발목근육운동법_발목근력강화운동_비복근운동 근력강화운동을 위한 가이드입니다. 1. 근육의 위치를 확인합니다. 2. 근육의 움직임을 이해합니다. 3. 밴드운동방법을 배워봅니다. 근육은 이미지를 통해 근육위치를 확인하기고, 움직임과 밴드운동방법은 새창열기 링크를 걸어두었으므로 편리하게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. -비복근과 비골근은 발목 근육입니다. 그중 비복근은 종아리 근육으로 한쪽 비복근 만으로도 몸 전체의 무게를 들어 올릴 수 있을 만큼 힘이 좋고 중요한 근육입니다. 비복근의 힘이 약해지면 발목과 발에 있는 혈액이 위로 순환이 잘 안 되는 혈액순환장애가 생기기도 합니다. -비복근을 살펴보겠습니다. @가자미근은 비복근 속에 있는 근육으로 앉아서 뒤꿈치를 들 때 사용되는 근육입니다. @비복근은 서서 뒤꿈치를 들 때 사용되는 근육입니다. -비복근 기시: .. 2019. 8. 10.
3_견갑거근운동_목운동_어깨근육운동법_목어깨근력강화운동_ 근력강화운동을 위한 가이드입니다. 1. 근육의 위치를 확인합니다. 2. 근육의 움직임을 이해합니다. 3. 밴드운동방법을 배워봅니다. -견갑거근은 목과 어깨를 연결하는 근육입니다. 평소 목이 결러서 주무르게 되는 부분이 이 근육입니다. 견갑거근은 사람이 직립보행을 하면서 중력을 이겨내야 하는 구조가 되면서 꼭 운동을 해야 하는 필수 근육입니다. 하지만 견갑거근 운동을 하지 않는 현대인들에게는 목 통증이 많이 생겨나게 됩니다. -견갑거근의 위치를 알아보겠습니다. -견갑거근 기시: 제1-4 경추 횡돌기 정지: 견갑골 상각에서 견갑극근까지의 견갑골 척추연 작용: 견갑골의 거상과 하방회전 신경지배: 견갑배신경(C3,4) 보시는 바와 같이 목에서부터 견갑골의 내측 상과(위쪽에 각이진 부분)에 붙어 있습니다. 견갑골.. 2019. 8. 10.
2_전거근운동_날개뼈운동_몸통근육운동법_어깨속근력강화운동_ 근력강화운동을 위한 가이드입니다. 1. 근육의 위치를 확인합니다. 2. 근육의 움직임을 이해합니다. 3. 밴드운동방법을 배워봅니다. -전거근은 날개뼈인 견갑골과 몸통인 갈비뼈를 연결하는 근육입니다. 근육의 위치를 알아보겠습니다. -전거근 기시: 위쪽 8번째의 바깥쪽 정지: 견갑골의 척추연 작용: 견갑골의 전인, 견갑골의 상방회전, 흉벽에 견갑골 고정 신경지배: 장흉신경, C5,6,7 전거근은 견갑골을 몸 쪽으로 붙이면서 앞으로 밀어내는 근육입니다. 갈비뼈의 70-80프로를 덮고 있을 정도로 크게 쓰여야 하는 근육이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 근육을 쓰임을 잊고 살아갑니다. 이 근육을 사용하지 못하면 날개뼈가 자꾸 몸에서 떨어져 나오게 됩니다. 그러면 어깨가 아파질 확률이 높아지게 되는 겁니다. 전거근의 움직임.. 2019. 8. 10.
1_소흉근운동_대흉근운동_가슴근육운동법_어깨앞면근력강화운동_ 근력강화운동을 위한 가이드입니다. 1. 근육의 위치를 확인합니다. 2. 근육의 움직임을 이해합니다. 3. 밴드운동방법을 익혀봅니다. -소흉근, 대흉근은 가슴근육의 위치를 알아보겠습니다. -소흉근 기시: 제3-5 늑골전면 정지: 견갑골의 오훼돌기 작용: 견갑골의 전인, 하강, 하방회전 지배신경: 내측흉신경(C8T1) - 대흉근 기시: 쇄골두-쇄골 내측 1/2 흉골두-흉골,1-6 늑연골 정지: 상관골 이두근구의 외측순 작용: 상완골의 내회전, 내전, 수평내전 쇄골두- 상완골 굴곡 흉골두- 상완골의 국골 자세에서 신전 지배신경: 쇄골두-외측흉신경(C5.6.7) 흉골두-내측흉신경(C8.T1) 가슴에 근육은 가슴흉자를 써서 흉근이라고 부릅니다. 작은 근육을 소, 큰 근육을 대라고 이름을 붙여서 소흉근, 대흉근이라.. 2019. 8. 10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