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우리 목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해주는 목근육은 총 12가지가 있습니다. 이름과 작용을 알아보겠습니다. 기시정지 근육그림등은 명칭을 클릭하시면 자세히 보실 수 있습니다.
목근육 12가지 이름과 작용
- 흉쇄유돌근 / 양쪽이 작용하면 목의 굴곡, 한쪽만 작용시에는 외측굴곡, 반대방향으로 회전작용
- 사각근 / 양측 작용시에 들숨에 갈비뼈 1,2늑골을 들오올림, 한쪽 작용시에 작용하는 쪽으로 목의 외측굴곡
- 두판상근 / 양쪽이 작용시에 목의 신전(하늘을 보는자세), 한쪽만 작용시에는 작용하는 방향으로 머리회전
- 경판상근 / 양쪽이 작용시에 목의 신전, 한쪽만 작용시에 작용하는 방향으로 머리회전
- 상후거근 / 늑골을 들어올려 흉강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작용
- 하후거근 / 호기(숨을 뱉을때)시에 하부 늑골을 아래로 끌어내려 횡경막이 위로 올라갈 때 늑골이 따라 올라가는 것을 방지합니다.
- 전거근 / 견갑골의 전인, 상방회전, 흉벽에 고정하는 역할을 합니다.
- 기립근 / 양쪽모두 작용시에 척추의 신전(폄), 한쪽만 작용시에는 척추의 외측골곡 작용을 합니다.
- 횡돌극근, 반극근, 다열근 / 양쪽 모두 작용시 척추의 신전, 한쪽만 작용시에는 반대쪽으로 척추의 회전
- 회전근 / 양쪽 모두 작용시에 척추의 신전, 한쪽만 작용시에 반대방향으로 척추회전
- 극간근 / 척추의 신전에 작용
- 횡돌간근 / 척추의 외측골국(옆으로 기울기)에 작용
목신전근, 목굴곡근, 목회전근, 목외측굴곡근
- ▲목 신전근(하늘보기) / 기립근, 횡돌근근, 반극근, 다열근, 회전근, 극간근 총 6개
- ▲목 굴곡근(땅보기) / 흉쇄유돌근 1개
- ▲목 회전근(좌-우회전) / 흉쇄유돌근, 두판상근, 경판상근, 횡돌극근, 반극근, 다열근, 회전근 총7개
목근육은 척추와 연결되어 허리까지도 작용되는 상후,하후거근, 기립근과 회전근, 다열근, 반극근, 횡돌간근 등이 있습니다. 목의 근육을 운동시에 근육의 위치와 이름들을 머리 속에 그려보며 운동하면 효과가 더 좋아서 한번 정리해 보았습니다. 보시면 아시다시피 회전에 사용근육이 제일 많고 굴곡에 사용되는 근육이 제일 적습니다. 순번을 보면 목회전>목신전>목외측굴곡>목굴곡군 순서입니다. 많은 근육이 동원되어 사용되는 움직임은 보다 정교하고 세밀한 작업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. 다음시간에는 보다 알찬 내용으로 찾아 뵙겠습니다. 안뇽!
반응형
댓글